드디어 오늘 적으려했던 주제에 도달.
send()함수에 넣어주는 param으로 char형 포인터가 있다. 요놈을 메세지라 부르지;;
난 여지껏 char *라길래.....-_- 정말 char 포인터를 만들어서 넣어주었지...배열로;;-_- 요놈을 버퍼라 부르더군... 캐릭터어레이;
이것이 바로 삽질의 기초;;-_- 모르면 그냥 해라
그제 충격적인 사실을 알았다..-_-
저기 저 char포인터대신 스트럭쳐가 들어가도 된다더라...
-_-!!!!!!! 어찌 이런일이..란느 생각뿐;;
부끄럽지만 다음엔 삽질하지 말자는 마음으로..공개하것다.
나름 머리를 쓴거지;; 데이터를 주고받을때 structure로 관리하면 편하것지? 하면서 일단 structure만들어 주시고
데이타 저기다 다 넣어 주시고..
저걸 다시 한바이트씩 짤라서 캐릭터 어레이에 한칸씩 채워준다음에
send(chararray)했다는 사실...
웃자 :D
엔 충격적인 사실..
데이터를 structure로 관리하는건 맞다. 다만 보낼때...캐스트를 쓰면 된다-_-
send((char*)structure)
-_- 이 어찌 충격이라 말하지 아니할수 있단말인가..
이 간단한걸 생각해 내지 못하고 그 삽질을.. 하다니..
오늘 실습시간에 역시 확인사살을 받았다..
조교 曰
ip패킷의 스트럭쳐를 보시면 아시겠지만..주고받을때 스트럭쳐로 하는게 맞습니다.-_-
ip패킷 스트럭쳐야 보긴 수없이 봤다만.. 본것만이 다가 아니고 내가 이해한것만이 다가 아니다라는 것을 배웠다
(제대로 이해해야 다지..)
'Programmer > Network Prog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링크]Socket 이란? (0) | 2007.12.14 |
---|---|
[링크]socket-client에 bind없는 이유 (0) | 2007.12.14 |
connection-oriented와 connectionless 의 차이 (0) | 2007.12.14 |
#pragma pack() (0) | 2007.12.14 |
host byte order와 network byte order (0) | 2007.12.14 |